[그래픽뉴스] 건설 자재 수급 불안<br /><br />최근 아파트, 도로, 교각 등 모든 건설 현장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건설 자재 수급이 불안해지면서 가격도 치솟았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철광석의 가격 변동 추이입니다.<br /><br />올해 초만 해도 톤당 150달러대였는데 5개월 새 30%나 올랐는데요.<br /><br />지난 12일엔 톤당 238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수요가 급증한 데다, 중국 정부가 자국산 철강재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면서 철광석 가격이 급등한 겁니다.<br /><br />원재료값이 오르면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철근의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지난 14일 기준 톤당 97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%나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철근 가격이 톤당 90만 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08년 5월 이후 13년 만입니다.<br /><br />철근과 함께 건설 공사에 꼭 필요한 시멘트도 수급 불안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산 업체들이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선비 개선이나 보수에 나서면서 공장 가동을 멈추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통상 시멘트 재고량은 약 120만6천 톤 수준인데, 작년 연말 재고량이 82만 톤으로 급감했고, 올해 들어서는 24만 톤까지 뚝 떨어지면서 10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이밖에 각종 화학 자재, 에폭시, 열연, 알루미늄 등도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.<br /><br />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3∼4월 주요 건설 자재 수급 불안으로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59곳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공공 현장에서는 22일 넘게, 민간 현장에서는 18일 넘게 공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건데, 특히 철강재 부족으로 인한 공사 중단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심각해지자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, 건설업계는 지난 18일 긴급 대책회의를 진행했는데요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업계는 중간 유통상이 사재기 등을 통해 시장가격 교란 행위를 하고 있다며 단속과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또 건설사들은 공사 기간이 연장되면 지체상금, 즉 계약 불이행에 따른 벌금을 내야 하는데, 자재 수급 불안으로 공사 기간이 늘어날 경우 지체상금 부과를 제외할 것을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건설 자재 수급 불안은 자잿값 상승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이나 시공 품질 저하, 부실시공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<br />민관이 잘 협력해 이번 위기에 대응해야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